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웹페이지
- Eclipse
- 문자열
- java
- sts4
- 문자열 자르기
- 웹개발자
- zxing
- 웹개발
- 이클립스
- Spring Boot
- Javascript
- 노드
- spring
- 프롬포트 수정
- 백엔드
- node.js
- jsp
- 프론트엔드
- git
- Python
- QR코드
- 백앤드
- 스프링부트
- 개발자
- 홈페이지 만들기
- 코딩
- 웹페이지 만들기
- HTML
- Today
- Total
웹개발왕
[Spring Boot] Spring Starter 프로젝트 & 웹페이지 만들기 본문
오늘은 저번에 설치한 STS4를 이용해 웹화면을 띄우기 위한 Spring Starter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직 STS4를 설치 못하셨다면 저번 포스팅을 참고해서 설치해주세요. ▼
[Spring] STS4 설치하기
오늘은 Spring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웹개발을 하기 위해 STS4(Spring Tool Suite 4)를 설치할려고 합니다.저와 같이 웹개발을 하고싶어 하는 누군가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글을 남겨봅니다참
web-developer1.tistory.com
Spring Starter 프로젝트 생성하기
STS4를 실행하면 왼쪽에 'Package Exploer'라는 메뉴가 있는데요.
그 중 'Create a project'를 클릭합니다.
만약 다른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Create a project'가 없다면
'Package Exploer'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 New -> Project를 클릭해줍니다.
그럼 Select a wizard 창이 뜰텐데요.
spring을 검색하고 Spring Starter Project를 클릭하고 Next를 클릭해줍니다.
New Spring Starter Project에서는 본인이 생성할 프로젝트를 설정하면 되는데요.
각 설정별로 설명을 써드릴테니 참고해서 작성하면됩니다.
주로 수정하는 설정은 빨간 내모칸으로 표시해뒀습니다.
Name | 프로젝트 이름 |
Type | 빌드관리도구 (Maven과 Gradle 중에 선택하면되는데 저는 Maven을 주로 사용합니다.) |
Java Version | 사용하고 싶은 java 버전 |
Language |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언어 |
Group | 그룹명 (보통 실무에서는 생성할 웹 URL이 'www.test.com' 이라면 역순인 com.test로 사용합니다. 1인 개발이라면 원하는 그룹명을 써도 무관합니다.) |
Description | 프로젝트 설명 |
Package | 최상위 패키지 |
New Spring Starter Project Dependencies에서는 원하는 의존성 패키지를 선택하면 됩니다.
나중에도 추가할 수 있으니 기본적으로 필요한 패키지만 추가해주세요.
제가 추가한 패키지의 설명 써드릴테니 참고해주세요.
추가하고 Finish 버튼 클릭하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Spring Boot DevTools | 서버 자동 재시작 |
Spring Web | Tomcat, MVC 등 웹 개발시 필수적인 기능 포함 |
오른쪽 하단에 로딩바 보이시나요?
저 로딩바가 끝나면 프로젝트 생성이 끝났다는겁니다.
생성된 프로젝트 옆에 화살표를 클릭하면 하위 폴더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처음 웹개발하는 분들은 어떤 폴더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모르실수도 있습니다.
웹개발을 진행하면서 천천히 알려드릴테니 저와 같이 알아가보자구요!
우선 테스트삼아 웹페이지를 띄워보겠습니다.
Spring Starter 프로젝트 실행시키기
src/main/resources 폴더 밑에 있는 static 폴더를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합니다.
New -> Other... 을 클릭합니다.
검색창에 html을 검색해서 'HTML File'을 더블클릭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html을 검색해도 'HTML File'이 안나온다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 ▼
[Spring] STS4에서 Web 파일(html,jsp)이 없을때
안녕하세요. 오늘은 STS4에서 html파일 생성이 없을때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파일을 생성할 폴더 클릭하고 Ctrl+N을 누르면 Select a wizard 창이 나오는데요. html을 검색해도 파일 생성이 안나오
web-developer1.tistory.com
'HTML File'을 더블클릭하면 파일 생성창이 뜰텐데
폴더 경로 확인해주시고, File Name은 test.html로 변경해준뒤 Finish를 클릭해주세요.
static 폴더 밑에 test.html 파일이 생성되고, 화면에 html 파일이 보일텐데요.
아래 사진과 같이 <body></body> 사이에 'Hello World'를 입력하고 저장(Ctrl+S) 해주세요!
저장한 다음 왼쪽 하단에 Boot Dashboard 창에 springTest가 있을텐데요.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한 다음에 (Re)start를 클릭해줍니다.
그럼 화면 중간에 있는 Console 창에 Spring이라는 글자 모양과 함께 로그가 우다다 생성되는데요.
우리가 확인해야될건 로그 중간에 'Tomcat initialized with 8080 (http)' 가 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확인이 됐다면 인터넷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localhost:8080/test.html' 을 입력하면 작성한 Hello World가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STS4로 돌아가 Hello World가 아닌 본인이 원하는 내용으로 수정한뒤 저장하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새로고침하면 수정한 내용으로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프로젝트를 실행시켜 웹페이지를 띄우는거까지 알아봤습니다.
다른 궁금한점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JAVA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JAVA로 만든 Controller로 JSP 호출하기 (5) | 2024.09.02 |
---|---|
[Spring Boot] JSP 파일 생성 & JSP 기본 경로 지정하기 (4) | 2024.08.29 |
[Spring Boot] JSP 파일 생성 시 UTF-8 자동 설정 (0) | 2024.08.29 |
[Spring Boot] STS4에서 Web 파일(html,jsp)이 없을때 (0) | 2024.08.16 |
[Spring Boot] STS4 설치하기 (0) | 2024.08.13 |